개인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독학 및 시험 후기

withgamza 2023. 3. 27. 11:23

: 이기적 교재, Youtuber PATH, 구글링

: 당연한 소리이겠지만, 교재는 기본으로 깔고 추가적인 정보를 습득하셔야지 합격합니다. 뜬금없이 정보처리기사 시험에 나올 법한 문제들이 종종 출제되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공부한 내용을 스프레드시트나 원하는 곳에 정리해두셔서 그걸로 공부하고, 시험장까지 들고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 2020년도에 시험이 개정되면서 현재 시점으로는 기출이 많이 없는 상황입니다. 때문에 만점 받고 싶으시다면 기사 실기 내용을 조금씩 공부하십쇼.

 

 

과목별 주요 포인트

[프로그래밍] : C언어 와 Java 중점으로 문제가 출제됩니다. 종종 알고리즘과 Python 문제가 출제되오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같습니다.

교재만으로 프로그래밍 실력을 다듬기에는 충분하다고 판단합니다. 연산자 우선 순위 및, 반복문 내의 변수 증감 등, 숫자로 낚시하는 문제가 많으니 코드를 직접 디버그하면서 해당 코드가 돌아가는 과정을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C와 Java에서 제공하는 함수들 (append()/ puts()/ charAt() ...) 공부해두시면 더욱 좋습니다.

*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시험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과목을 포기하시면 합격률이 낮아지는 것은 사실이니, 꼭 버리지 마시길 바랍니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필자 기준 굉장히 지엽적으로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농후한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결함 관리를 A-Z까지 공부하면 베스트이겠지만 그럴 수는 없기 때문에.. 결함 추적 프로세스, 워크스루와 인스펙션, 형상관리,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등 큰 틀을 달달 외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운영체제] : 반드시 공부해야하는 부분은 DOS/Windows, UNIX/Linux 명령어, Windows 운영체제의 구성, 단축키입니다. 명령어나 단축키의 경우, 일일이 찾아보기 귀찮으시면 ChatGPT한테 추출해오라고 명령하시면 보다 정확하게 알려줍니다.

 

[네트워크] : OSI 7계층은 필수이며 각 계층의 개념, 주요 장비들을 통해 동작하는 과정,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를 암기하는 등 디테일하게 파고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당 과목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종종 있었던 것같은데, 이 과목에서 만큼은 교재에 얽매여 있지 마시고 구글링을 추천드립니다. 

 

[DB] : DB의 종류, 스키마, 용어, 무결성, 트랜잭션 암기가 필수입니다. 교재로 충분히 커버 가능한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SQL] : 해당 과목 역시 실기 시험 중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버리시면 안됩니다. 기출이랑 변형 문제 달달 외우시면 어느정도 승산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문제들을 기출에서 뽑아내는 경우가 많은 것같습니다.) 교재 설명이 애매하거나 머릿속에 잘 안들어오는 것같다면 구글링 추천드립니다. 혹은 SQL 강의와 예제, 실습이 가능한 사이트가 많이 준비되어 있으니 참고하셔서 공부하시는 것을 강력 추천드립니다. 

 

아래는 제가 참고했던 사이트들 목록입니다.

C언어 온라인 컴파일러 - https://www.onlinegdb.com/online_c_compiler

Windows 단축키- https://81mjdemarco.tistory.com/179

OSI 7계층에 대한 설명 - https://velog.io/@xxell-8/OSI-7-Layers

SQL 실습가능한 사이트 - https://www.w3schools.com/sql/sql_alter.asp

필자의 스프레드시트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CKDqRwJZmOfSyp2Y1Nz8iROYEJKe_YLtjaeRwr4o0/edit#gid=0